Good 보도자료/HOT 보도자료

이렇게 하세요! 떡이나 음식물이 목에 걸렸을 때

정보광장 2019. 1. 10. 19:36
반응형

□ 소방청(청장 정문호)이 분석한 최근 3년간 119구급활동 결과에 따르면 기도 속 이물 응급환자가 119구급차를 이용한 실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2016년 2,063건, 2017년 2,342건, 2018년 2,914건(전년대비 24.4% 증가)이다.


□ 지난해 11월 가정집에서 80대 남성은 음식을 먹다가 목에 걸려 119에 신고는 하였지만, 119구급대원이 도착하기 전까지 보호자가 아무런 응급처치를 시행하지 않아 목숨을 잃은 사례도 있다.


○ 또, 일본 도쿄소방청에 따르면 올 새해에 일본 도쿄에서 찹쌀떡을 먹다가 11명이 응급실에 가고, 1명이 숨지는 일도 있었다.


○ 떡이나 음식물을 먹다가 목에 걸려 갑자기 쉼을 쉬지 못하고, 주변사람이 신속한 응급처치를 못하면 심정지로 생명을 잃을 수 도 있다.


□ 음식물로 인한 기도폐쇄는 대부분 4세 이하 영유아에게 발생하지만 성인도 예외가 아니다. 기도 속 음식물로 완전 기도폐쇄가 되는 경우 2~3분 이내에 음식물을 곧바로 제거해주지 않으면 매우 위급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 기도폐쇄가 의심되면 ‘하임리히법’으로 알려진 복부 밀어내기로 복부에 압력 상승을 유도하여 기도 속 이물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 특히, 기도폐쇄 환자가 말을 하거나 소리를 낼 수 있는 부분 기도폐쇄는 하임리히법을 실시하기 전에 기침을 하게 하여 이물이 빠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


□ 소방청 박세훈 구급정책협력관(응급의학전문의)은 “기도폐쇄 예방은 부모들이 어린아이가 장난감이나 작은 물체를 삼키지 않도록 항상 살펴보는 습관이 필요하다”며, 또한 “노인은 떡 등 단단한 음식을 먹을 때 잘게 잘라서 잘 씹어 먹는 것이 좋고, 평소 하임리히법을 익혀 위급상황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본 저작물은 소방청에서 '2019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