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 보도자료/HOT 보도자료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 신안산선 본궤도 올랐다!

반응형

사업시행자 지정․실시협약(안) 민간투자심의위 통과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12월 12일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과 신안산선에 대한 사업시행자 지정 및 실시협약(안)이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이하 민투심, 위원장 경제부총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A노선 및 신안산선 사업개요 】

구 분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

신안산선 복선전철

사업구간

설계시공 : 운정~삼성(43.6km): 운정~동탄(83.1km)

 

* 삼성동탄 구간은재 정사업으로 ’17.3착공

안산시흥~여의도(44.6km)

총사업비

29,017억원(’15년말 불변가)

33,465억원(’13년말 불변가)

사업기간

공사기간 : 착공 후 60개월

운영기간 : 관리운영권 설정일로부터 30

공사기간 : 착공 후 60개월

운영기간 : 관리운영권 설정일로부터 40


□ A노선은 현재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제 영향평가 및 관계기관 협의 중이며, 사업 실시계획 승인을 거쳐 공사에 착수할 계획이고,


 ㅇ 신안산선은 시행 중인 실시설계와 후속 절차를 조속히 추진하여 내년 중에는 착공할 계획이다.


□ 두 노선 모두 기존 광역·도시철도와 달리 지하 40m 이하 대심도(大深度)에 철도를 건설하여, 지하 매설물이나 지상부 토지 이용에 대한 영향 없이 직선화 노선을 고속으로 운행하는 새로운 철도교통수단이다.


 ㅇ 초고속 도시철도인 수도권광역급행철도는 수도권 외곽~서울 주요 거점을 설계속도 200km/h(영업 최고속도 180km/h)로 주파하며, 신안산선도 안산·시흥 지역과 여의도 구간을 가장 단거리로 운행함으로써 운행시간이 대폭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 A노선   : 일산~삼성(지하철 80분→20분), 동탄~삼성(M버스 60분→22분)

     신안산선 : 시흥시청~여의도(지하철 53분→22분), 한양대~여의도(지하철 100분→25분, 급행)


□ 정부는 지난해 12.12일(신안산선)과 12.29일(A노선)에 두 사업에 대한 민간투자시설사업기본계획(RFP)을 고시했으며,


 ㅇ 신안산선은 포스코건설 컨소시엄, A노선은 신한은행 컨소시엄을 각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여 협상을 추진해 왔다.


 ㅇ 두 사업은 지난 10월 25일 분야별 실무협상을 완료하고 실시협약(안)을 도출하였으며, 실시협약(안)에 대한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검토를 거쳐, 이 날 민투심 심의․의결을 완료하게 되었다.


 ㅇ 이제 정부가 각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들과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사업시행자를 지정하게 되면, 향후 실시계획 승인 절차를 거쳐 공사에 돌입하게 된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개요


□ 사업개요

 ㅇ (구간) 파주~일산~삼성~동탄 간 83.1km, 정거장 10개소

   * 삼성~동탄 구간(39.4km)은 수도권고속철도와 연계하여 재정으로 건설중(’17.3∼)

 ㅇ (총사업비/사업방식) 2조 9,017억원/BTO 방식

 ㅇ (서비스 수준) 표정속도 100km/h (현 도시철도는 약 30km/h 수준)

   * 일산~삼성역(36km) : 기존 전철 80분 → 광역급행철도 20분


신안산선 복선전철 개요


□ 사업개요

 ㅇ 사업내용: 안산·시흥∼여의도 44.6km, 정거장 16개소(장래역 1개), 차량기지 1식(송산)

 ㅇ 사업방식 : 위험분담형 민간투자사업(BTO-rs)

 ㅇ 공사기간 : 착수일로부터 60개월

 ㅇ 운영기간 : 관리운영권 설정일로부터 40년

 ㅇ 총사업비 : 3조 3,465억원(’13년말 기준)


"본 저작물은 국토교통부에서 '2018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