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 보도자료/HOT 보도자료

말라리아, 위험지역 여행 시 감염주의 당부

반응형

말라리아, 위험지역 여행 시 감염주의 당부


- 세계 말라리아의 날(4.25일) 맞아, 말라리아 감염 주의 당부 - 

○ 국내·외 위험지역* 여행 시, 모기 기피제, 긴 옷 등을 이용하여 모기물림 주의

○ 말라리아 발생 국가에 따라 약제내성 및 발생현황이 다르므로 해외여행 전에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사와 상담 후 필요시 적절한 예방약 복용

○ 말라리아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 방문하여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 권고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제11회 ‘세계 말라리아의 날’을 맞아,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휴전선 접경지역) 거주자 및 여행객과 해외 말라리아 발생 국가(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를 방문하는 여행객을 대상으로 말라리아 감염 주의를 당부하였다.

 ○ 말라리아는 매개모기가 사람을 흡혈하는 과정에서 열원충이 전파되는 대표적인 모기매개 질환 중 하나로 현재까지 총 5종*에서 인체감염이 가능하다.

    * 삼일열말라리아, 열대열말라리아, 사일열말라리아, 난형열말라리아, 원숭이열말라리아



   - 우리나라는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5-10월에 삼일열말라리아가 휴전선 접경지역(인천, 경기, 강원)의 거주자(군인 포함) 및 여행객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 신속한 진단·치료가 필요한 열대열말라리아는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해외여행을 통해 연 평균 70건 내외로 신고가 이루어지고 있다. 



□ 이와 관련하여 질병관리본부는 말라리아 감염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관리대책을 시행중에 있다고 밝혔다.

  ○ 말라리아 환자 전체를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수행하고, 말라리아 발생위험이 높은 지역에서 매개모기 밀도조사 및 원충감염 감시 등을 실시하며,

   - 매년 전년도 환자 발생현황을 토대로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선정하여 모기집중방제, 말라리아 예방물품(진단키트, 치료제, 기피제 등) 보급, 환자 조기발견 및 치료 등에 대한 교육·홍보를 수행하고 있다.

 ○ 또한, 열대열말라리아 환자 유입 시 필요한 치료제 비축을 위해 4개 기관*을 열대열말라리아 치료제 비축기관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 국립중앙의료원, 부산 중구보건소, 광주 동구보건소, 국립제주검역소

 ○ 수혈로 인한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말라리아 환자 및 말라리아 발생국가 여행자의 헌혈을 금지하고, 국내 말라리아 발생률이 높은 지역을 헌혈제한지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 2017년 국내 말라리아 관련 헌혈제한지역(‘17.8.15 기준)

여행 및

거주년도

지 역

2015

2016

2017

2015

2017

인 천

강화군

제한

제한

제한

옹진군

제한

제한

제한

영종·용유도지역(중구 남북동, 덕교동, 운남동, 운북동, 운서동, 을왕동, 중산동) 및 무의도 지역(중구 무의동)

제한

제한

제한

강 원

철원군

제한

제한

제한

경 기

파주시

제한

제한

제한

김포시

제한

제한

제한

연천군

 

 

제한

북 한

백두산 제외 전지역

제한

제한

제한


◦ 2017년 말라리아 관련 국외 헌혈제한지역(대륙별) 

대륙

구분

국가

아메리카

전지역

아이티(라바디 항구)

일부지역

가이아나, 과테말라, 니카라과, 도미니카공화국, 멕시코, 베네수엘라, 벨리즈, 볼리비아, 브라질, 수리남,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콜롬비아, 파나마, 페루, 프랑스령기아나

아프리카

전지역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기니비소, 나이지리아, 남수단, 니제르, 라이베리아, 르완다, 마다가스카르, 프랑스령마요트, 말라위, 말리, 모리타니아, 모잠비크, 베넹,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상투메프린시페, 세네갈, 소말리아, 수단, 시에라리온, 앙골라, 우간다, 잠비아, 적도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짐바브웨, 차드, 카메룬, 코모, 코트디부아르, 콩고공화국(브라자빌), 콩고민주공화국(킨샤사), 토고

일부지역

나미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보츠와나, 서사하라, 스와질란드,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카보베르데, 케냐, 탄자니아

아시아/

오세아니아

전지역

동티모르, 바누아트, 솔로몬제도

일부지역

네팔, 라오스, 말레이시아, 버마(미얀마),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사우디아라비아,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이란, 인도, 인도네시, 중국, 캄보디아, 태국, 타지키스탄,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 자료원 : www.cdc.gov/malaria('17.8.15 update)



□ 아울러 질병관리본부는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해당 지역 여행 시 말라리아 감염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모기에 물린 후 말라리아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에 방문할 것을 당부하였다.

 ○ 국내·외 말라리아 위험지역 및 예방약 정보, 예방수칙 등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또는 질병관리본부 모바일 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 말라리아 위험지역 여행 시 모기에 물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야간외출자제, 야간외출 시 긴 옷 착용, 야외취침 시 모기장 사용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해외 위험지역 여행 전 의사와 상담 후 지역에 따라 적절한 예방약을 복용해야 한다. 

 ○ 해외여행 후 다음과 같이 말라리아 감염이 의심될 경우에는 즉시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해외여행 이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아야 한다.

   - 말라리아에 감염되면 일정 기간의 잠복기를 거쳐 초기에 권태감, 서서히 상승하는 발열 증상이 수일간 지속되고, 이후 오한, 발열, 땀흘림 후 해열이 반복되면서 두통, 구역, 설사 등이 동반된다.


[말라리아 질병 개요]

구 분

내 용

방역이력

및 발생현황

법정감염병(3) ICD-10 B50, B51, B52, B53, B54

80년대 초반 사라진 것으로 여겨졌던 국내 말라리아는 ‘93DMZ에서 복무중이던 군인에서 확인된 이후 환자 발생이 증가하여 ’00년 말라리아 환자 발생이 정점에 이르고(‘00년 환자수 4,183), 이후 지속적으로 환자 발생이 감소하여 최근 연 700명 이하로 발생 중

국내에서는 삼일열말라리아만 발생하고 있으며, 해외유입의 경우 다양한 유형의 말라리아(열대열, 삼일열, 난형열, 사일열, 원숭이열) 확인됨

위험지역 : 국내(인천, 경기, 강원 북부지역), 해외(중남미,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 특히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이 가장 위험)

주요 원충

Plasmodium vivax (삼일열말라리아), Plasmodium falciparum(열대열말라리아), Plasmodium malariae(사일열말라리아), Plasmodium ovale(난형열말라리아), Plasmodium knowlesi(원숭이열)

주요 매개모기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 잿빛얼룩날개모기(Anopheles pullus), 클레인얼룩날개모기(Anopheles kleini) 등 얼룩날개모기(genus Anopheles)의 암컷 모기

감염경로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얼룩날개모기 속(genus Anopheles)의 암컷 모기가 인체를 흡혈하는 과정에서 감염 및 전파

드물게 수혈이나 주사기 공동사용에 의해 전파

사람 간 직접 전파는 발생하지 않음

잠 복 기

삼일열말라리아 : 단기잠복기(12-18), 장기잠복기(6-12개월)

열대열말라리아 : 9-14

주요증상

및 임상경과

서서히 발생하는 발열과 권태감이 초기에 수일간 지속됨

오한, 발열, 발한 후 해열이 반복적으로 나타남(주기적 발열). 하지만 열대열말라리아의 경우 발열이 주기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음

중증 환자(열대열말라리아)에서는 황달, 혈액응고장애, 신부전, 간부전, 쇼크, 의식장애섬망혼수 등의 급성 뇌증이 발생

신속한 치료가 예후에 결정적이므로 조기 진단이 중요

진 단

말라리아 원충 확인(말초혈액도말검사)

말라리아 원충 유전자 확인(중합효소연쇄반응) 신속진단키트 : 보조적 진단법

치 료

말라리아 유형, 여행지역에 따른 내성 현황을 고려한 적절한 약제 선택

해외 여행객의 감염된 말라리아 원충 종류와 약물 내성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에는 약제내성 열대열말라리아로 간주하고 치료할 것을 권고

환자 관리

환자관리 : 혈액 격리(치료종료 후 3년간 헌혈 금지) 접촉자관리 : 필요 없음

예 방

환자를 조기 발견, 치료하여 감염원을 없애는 것이 가장 중요

모기기피와 예방약 복용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

예방적 화학요법

클로로퀸 감수성지역 여행 시: 클로로퀸(여행 1주일 전귀국 후 4주간, 1)

클로로퀸 내성지역 여행 시: 메플로퀸(여행 2주일 전귀국 후 4주간, 1)

메플로퀸 내성지역 여행 시: 아토바쿠온-프로구아닐(여행 1-2일 전귀국 후 1주일까지, 매일)

모기노출 방지

방충망, 모기장 사용

어두운 색 옷을 피하고, 긴 소매긴 바지를 입어 노출 부위 최소화

주로 모기가 흡혈하는 시간대인 저녁부터 새벽까지 외출 자제


"본 저작물은 질병관리본부에서 '2018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말라리아, 위험지역 여행 시 감염주의 당부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