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사용하는 식물명, 절반이 남한과 달라
◇ 북한의 ‘조선식물지’와 국립생물자원관의 ‘국가생물종목록’ 비교 검토 결과, 식물 3,523종 중 1,773종 식물명 남한과 달라
◇ 생물다양성 분야 남북 협력 추진 및 식물명 통일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 북한에서 사용하는 식물 이름의 절반 가량이 남한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올해 1월부터 최근까지 북한 지역의 식물 3,523종이 담긴 ‘조선식물지’를 ‘국가생물종목록*’과 비교한 결과, 북한에서는 작약이 함박꽃으로, 자도나무는 추리나무로 불리는 등 약 50%인 1,773종의 식물명이 남한과 다르다고 밝혔다.
※ 국립생물자원관은 2007년 개관 이래 매년 신종·미기록종 등이 담긴 ‘국가생물종목록’을 매년 연말 발표하고 있음
○ ‘조선식물지’는 북한 식물학자(임록재 박사 등 18명)에 의해 2000년에 발간됐으며, 북한 지역의 식물학적 연구가 총합적으로 정리되어 있는 문헌이다.
□ 식물명이 다른 경우를 유형별로 분석해 보면 외래어 순화, 비속어 배척 등 남북한의 정책적인 원인에 의한 차이가 18%정도였고, 합성명사(-나무, -풀 등)의 유무와 같은 단순한 차이가 약 10%, 두음법칙의 미사용 등의 표준어 표기법 차이가 약 7%였다.
○ 이밖에 기준명(속명)의 차이나 문화의 차이에 따라 다른 것도 있다.
○ 대표적으로 미나리아재비목에 속한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은 북한에서는 함박꽃으로 부른다. 이 식물은 한반도를 비롯해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에 분포한다.
○ 장미목에 속한 자도나무(Prunus salicina Lindl.)는 북한에서는 추리나무로 불린다. 이 식물은 중국에 분포하며 한반도의 중부지방 이북에서 산다.
○ 마디풀목에 속한 소리쟁이(Rumex crispus L.)는 북한에서 송구지로 부르며 나물로 식용한다. 이 식물은 한반도를 비롯해 북반구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
□ 연구진은 남한의 경우 국명을 최초 부여한 문헌의 선취권을 인정하여 국명이 정해지는 반면, 북한의 경우, 국가 또는 일부 학자에 의해 제시된 통일된 정책적 기준으로 식물명이 정해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 또한 한자어, 외래어, 비속어 등을 식물명에서 배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식물명에 지역 명칭 사용도 피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 한편, ‘조선식물지’에 수록되어 있는 식물 총200과 996속 3,523종 중 전 세계에서 북한지역에서만 자라는 고유종은 장군풀, 쌍실버들 등 58종으로 조사됐다.
○ 남한 문헌에 기록되어 있지 않는 식물은 총 314종으로 나타났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재배하는 종과 분류학적으로 재검토가 필요한 139종을 제외한 175종을 국가생물종목록에 추가할 예정이다.
[남북한 식물명 비교 예시 자료]
식물명 차이의 원인 |
남한 (국가생물종목록) |
북한 (조선식물지) | |
1. 정책적 원인 |
비속어 기피 |
소경불알 |
만삼아재비 |
쥐똥나무 |
검정알나무 | ||
며느리밑씻개 |
가시덩굴여뀌 | ||
며느리배꼽 |
참가시덩굴여뀌 | ||
홀아비꽃대 |
홀꽃대 | ||
기생꽃 |
애기참꽃 | ||
기생여뀌 |
향여뀌 | ||
개머루 |
돌머루 | ||
개별꽃 |
들별꽃 | ||
개옻나무 |
털옻나무 | ||
외래어 순화 |
작약 |
함박꽃 | |
백송 |
흰소나무 | ||
마편초 |
말초리풀 | ||
리기다소나무 |
세잎소나무 | ||
스트로브잣나무 |
가는잎소나무 | ||
포아풀 |
꿰미풀 | ||
컴프리 |
애국풀 | ||
라일락 |
큰꽃정향나무 | ||
도꼬로마 |
큰마 | ||
지역명 사용 지양 |
일본목련 |
황목련 | |
일본매자나무 |
좀매자나무 | ||
중국단풍 |
애기단풍나무 | ||
중국굴피나무 |
풍양나무 | ||
서울제비꽃 |
긴털제비꽃 | ||
대구돌나물 |
바늘돌나물 | ||
제주진득찰 |
동방진득찰 | ||
복천물통이 |
몽울풀 | ||
부전송이풀 |
늪송이풀 | ||
장지석남 |
각시석남 | ||
진남포사초 |
들사초 |
식물명 차이의 원인 |
남한 (국가생물종목록) |
북한 (조선식물지) | |
2. 표준어표기법 차이 |
두음법칙 미적용 |
용담 |
룡담 |
육지꽃바들 |
륙지꽃버들 | ||
연복초 |
련복초 | ||
연(꽃) |
련꽃 | ||
나한송 |
라한송 | ||
기타 |
계요등 |
계뇨등 | |
댓잎현호색 |
대잎현호색 | ||
눈잣나무 |
누운잣나무 | ||
난쟁이버들 |
난장이버들 | ||
밭뚝외풀 |
밭둑외풀 | ||
3. 단순 차이 |
합성명사 ‘나무’ 통일사용 |
무궁화 |
무궁화나무 |
다래 |
다래나무 | ||
오미자 |
오미자나무 | ||
화백 |
화백나무 | ||
홍월귤 |
홍월귤나무 | ||
합성명사 ‘풀’, ‘꽃’ 통일사용 |
매발톱 |
매발톱꽃 | |
괭이밥 |
괭이밥풀 | ||
노루귀 |
노루귀풀 | ||
띠 |
띠풀 | ||
기타 |
가는금불초 |
가는잎금불초 | |
가는골무꽃 |
가는잎골무꽃 | ||
가는가래 |
가는잎가래 | ||
갯길경 |
갯길경이 | ||
4. 그 외 |
기준명(속명) 또는 문화적 차이 |
소리쟁이 |
송구지 |
미나리아재비 |
바구지 | ||
돼지풀 |
쑥잎풀 | ||
감태나무 |
흰동백나무 | ||
자도나무 |
추리나무 | ||
전호 |
생치나물 | ||
꿩의다리 |
가락풀 | ||
갈퀴나물 |
말굴레풀 | ||
곡정초 |
별수염풀 | ||
회양목 |
고양나무 | ||
명아주 |
능쟁이 | ||
무릇 |
물구지 |
□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 조사를 토대로 ‘국가생물종목록’과 북한의 ‘조선식물지’의 차이점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을 8월 15일 발간한다.
○ 이 책은 남북한에서 사용하는 식물명의 차이점을 한눈에 알 수 있게 나란히 기록되어 있으며, 북한 지역에서만 분포하는 식물과 남한 문헌에 기록된 적이 없는 한반도 자생 식물은 따로 표시했다.
○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은 국립생물자원관 누리집(www.nibr.go.kr) 생물다양성 이북(E-book) 코너에서 볼 수 있다.
□ 국립생물자원관은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이 국내 문헌에 기록되어 있지 않는 한반도 자생식물의 현황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또한, 분단 이후 지속적으로 이질화되고 있는 남북한 식물명의 현황과 그 원인을 분석하고 식물명 통일화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본 저작물은 환경부에서 '2018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Good 보도자료 > HOT 보도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사의 수술 봉합은 의료법 위반행위” 엄중 조치 (0) | 2018.08.16 |
---|---|
2018년 상반기 의료기기 거짓․과대광고 점검 결과 발표 (0) | 2018.08.16 |
경기도, 가을철 수확기 맞아 12개 시군서 ‘무료 농기계 순회수리’ 실시 (0) | 2018.08.15 |
제40회 전국과학발명품경진대회 심사결과 (0) | 2018.08.15 |
바다가 아름다운 남해안 명소 20곳 사진·영상 공모전 / 9월30일까지 (0) | 2018.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