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 장기 이식 거부 반응’ 혈액으로 조기 진단
- 농촌진흥청, 합병증 예측 등 정밀 의학 활용 가능성 열어
□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종(種)이 다른 동물 간에 장기를 이식한 후 발생할 수 있는 거부 반응을 혈액 몇 방울로 예측하고 진단하는 일이 가능해졌다고 밝혔습니다.
<이종 이식 수술>
□ ‘돼지-원숭이’처럼 이종 간 장기를 이식한 뒤 거부 반응이 일어나면 장기 수명이 줄거나 심한 경우 장기를 받은 동물이 죽을 수도 있습니다.
○ 장기 이식 후 거부 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해 거부 반응 감소제를 투여하고는 있지만, 약물이 지나치면 감염 위험이 높아지고, 부족하면 장기 거부 반응이 나타납니다.
○ 이와 함께 합병증 발생 여부는 단순 혈액 검사, 생체 장기 조직 채취, 심장 초음파 등으로 판단할 수 있지만 이는 비용 부담과 결과 해석의 어려움, 동물의 고통이 따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농촌진흥청은 바이오 장기용 돼지 심장을 이식한 원숭이의 혈액으로 면역 반응에 관한 중요 유전자 89개를 동시에 분자 진단하는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 기존에는 유전자 1개를 분석하는 데 4시간 정도 걸렸지만 이 기술을 이용하면 반나절 만에 89개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체 조직 검사를 하지 않아도 돼 동물의 고통도 줄게 됩니다.
○ 실제 연구 과정에서 원숭이 모델에 많이 사용하는 면역 억제제(항 CD154 단 클론 항체)가 혈액 응고 유전자(CCL2/IL6)의 발현을 촉진해 혈전 색전증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바이오공학과 임기순 과장은 “개발한 분자 진단 기술로 더 많은 결과 자료를 모은다면, 이종 이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해 예방하고 치료도 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전했습니다.
□ 이번 연구는 국립축산과학원과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체와 함께 진행했습니다.
○ 연구 결과는 이종 장기 이식 분야 국제 학술지인 ‘제노트랜스플랜테이션(Xenotransplantation)’ 최신 호에 실렸습니다.
"본 저작물은 농촌진흥청에서 '2018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Good 보도자료 > HOT 보도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11월16일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0) | 2018.11.16 |
---|---|
KEB하나은행 K리그 2018 대상 시상식 후보명단 발표 (0) | 2018.11.16 |
PC방 살인사건 피의자, 심신미약 아니다 (0) | 2018.11.15 |
국토부, 아연도금된 ABS모듈(독일 콘티넨탈사) 조사 (0) | 2018.11.15 |
2019년부터 외과 전공의(레지던트) 수련기간, 3년으로 단축 (0) | 2018.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