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정정보

대구ㆍ광주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 선정 발표

반응형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12.22(화) 영상회의로 개최된 제30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본회의에서 대구광역시와 광주광역시에서 제안한 도심융합특구 후보지를 보고하고, 대구광역시와 광주광역시에서 제안한 도심융합특구 후보지를 도심융합특구 사업부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ㅇ 도심융합특구는 지방 대도시(광역시 5곳)의 도심에 기업, 인재가 모일 수 있도록 ‘판교2밸리’와 같이 산업·주거·문화 등 우수한 복합 인프라를 갖춘 고밀도 혁신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ㅇ 국토교통부는 「도심융합특구 조성계획」(‘20.9.23)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지방 광역시 5곳과 함께 협의체를 구성하고, 지방에서 배우고 성장한 청년들이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청년 인재들이 선호하는 문화, 도시 편의시설 등을 두루 갖춘 도심융합특구 후보지역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다.


□ 이번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로 선정된 지역은 “지역 주도–중앙 지원”이라는 원칙 아래 대구광역시와 광주광역시가 도심융합특구 사업의 목적, 지역 실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 부지로 제안한 후보지이며, 구체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대구 : 경북도청 이전지 일원


 ㅇ 대구광역시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약 98만㎡)는 경북도청 이전부지, 경북대학교, 삼성창조캠퍼스 3곳이며, KTX 동대구역과 접근성이 뛰어난 기존 대구 도심지 내에 위치하고 있다.


   * 경북도청 이전부지(약 14만㎡), 경북대(약 75만㎡), 삼성창조캠퍼스(약 9만㎡)



 ㅇ 경북도청 이전 부지는 문화체육관광부가 경상북도로부터 부지를 매입 중(‘18~’22년)인 국ㆍ공유지로 대구광역시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의 핵심 거점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ㅇ 또한, 경북도청 이전 부지에 인접하고 있는 경북대학교와 삼성창조캠퍼스는 기존에 수행하고 있는 산ㆍ학ㆍ연 기능과 도심융합특구와의 연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광주 : 상무지구 일원


 ㅇ 광주광역시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약 85만㎡)는 시청이 위치한 상무지구 서편 지역으로 김대중컨벤션센터, 상무시민공원 등 현재 이용하고 있는 부지(약 25만㎡)와 구 상무소각장, 농지 등 대규모 유휴부지(약 60만㎡)로 구성되어 있다. 


 ㅇ 개발가능한 대규모 유휴부지의 절반 정도(약 29만㎡)를 시와 도시공사가 보유하고 있어 신속한 도심융합특구 조성이 가능하며, 부지면적도 충분하여 광주광역시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의 핵심 거점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ㅇ 또한, 상무지구 일원은 지역 청년들이 즐겨 찾는 신도심으로 한국전력공사 및 에너지업계 기업들이 이전해 있는 나주혁신도시, 전남대학교 등 지역 대학과 연계한 지역혁신산업 육성과 같이 도심 융합특구와의 연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광주광역시는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 내 부동산 가격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토지거래허가구역과 개발행위허가 제한구역을 발표와 동시에 지정(12.22)


□ 국토교통부는 ‘21년 2월부터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가 선정된 대구광역시와 광주광역시에 도심융합특구 기본계획 수립예산(1곳당 3억)을 지원할 계획이며, 


   * 대구광역시는 경북도청 이전부지를 매입하고 있는 문화체육관광부 등과 협업하여 도심융합특구 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


 ㅇ 부산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와 지속적으로 도심융합특구 적정지역 발굴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는 등 ‘21년에도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를 추가로 선정ㆍ발표할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 박무익 국토도시실장은 “새로운 국가균형발전정책의 일환으로 지방 도시의 도심에 지역혁신성장거점을 조성하는 도심융합특구 사업이 본격화되었다”면서, “내년에는 도심융합특구 지원을 위한 범정부 지원방안, 도심융합특구의 안정적인 조성과 지원을 위한 특별법 제정 등 사업추진 기반을 공고히 함으로써 도심융합특구가 지역경제의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는 반등의 모멘텀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정부, 지자체 등 관련된 모든 주체들의 창의적 상상과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본 저작물은 국토교통부에서 '2020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