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과잉사육 기조 지속으로 '23~25'년 전후 한우 수급불안(가격하락) 우려가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우 사육농가는 자율적인 입식마릿수 조절등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적극적인 「암소감축 및 입식자제」 협조 바랍니다.
「암소감축 및 입식자제 참여 요청」 안내문
한우 수급 전망 알림
*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우관측(`21.3월호)
▶ (사육) `23년말까지 한우 총사육마릿수는 가임암소수 증가에 따른 송아지 생산 확대 등으로 평년대비 약 12% 증가한 332.5만마리 수준으로 증가 전망
구분 | 평년(`16~`20) | `19년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전체마릿수 | 2,970 | 3,078 | 3,200 | 3,325 | 3,371 | 3,373 |
가임암소수 | 1,428 | 1,484 | 1,547 | 1,612 | 1,625 | 1,608 |
1세미만 수 | 867 | 906 | 934 | 950 | 992 | 1,002 |
▶ (도축) 도축마릿수도 개체수 확대에 따라 `23년까지 평년대비 약 27% 증가한 95.2만마리 전망
* 도축마릿수 : (평년) 74.8만마리, (`20) 76.3 → (`21) 83~84 → (`22) 90.5 → (`23) 95.2
▶ (수요) `22년 이후 한우 도매가격은 도축물량 확대 등으로 인해 `21년 2~4분기 전망 수준(평균 17,500~18,500원/kg 내외) 이하 형성 전망
ㅇ `21년 2~4분기 도매가격은 설 성수기 이후 공급(도축) 증가로 인해 `20년 대비 약 10% 내외 하락한 17,500~18,500원/kg 내외(평년대비 약 ±3.0%) 전망
구 분 | 한우 도축 마릿수 | 한우 도매가격 |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21년(A) | 187.6 | 189.4 | 231.6 | 222.2 | 19,500 | 18,000 | 18,000 | 16,500 |
`20년(B) | 188.2 | 181.1 | 216.8 | 176.7 | 19,030 | 20,041 | 20,387 | 20,069 |
☞ `21.1분기 이후 송아지 입식 등으로 도축이 예상되는 `23.1분기 출하량 증가로 도매가격 하락 예상 ⇒ 신중한 입식 및 번식계획 등 조정 필요
※ (당부) 한우산업이 안정적으로 영위될 수 있도록 한우농가 스스로 저능력 경산우, 미경산우 감축 및 송아지 입식물량 조정 등 적극 동참 요청
"본 저작물은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23~'25년 전후 한우 수급불안(가격하락) 우려공고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세종특별자치시청 홈페이지' https://www.sejong.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행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규 도입되는 소방헬기 새로운 디자인 적용 (0) | 2021.04.05 |
---|---|
보건복지부, 코로나19 관련 대국민 담화문 (0) | 2021.04.04 |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서울시장후보 여성정책 기자회견문 (0) | 2021.04.03 |
인천광역시, 3차 일반택시기사 긴급고용안정지원(법인택시 기사 소득안정자금) 시행 / 4.12까지 (0) | 2021.04.02 |
베타 지중해 빈혈 치료 '루스파터셉트' 희귀의약품 지정 (0) | 2021.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