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과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9월13일 ‘풀무치’를 새로운 식품 원료로 인정했다.
▶원재료명 : 풀무치
▶학명 : Locusta migratoria
▶분류 : 곤충강 메뚜기목 메뚜깃과 풀무치 속
▶사육환경(연중 대량 사육)
․ 사육온도 : 30℃
․ 광주기 : 9L/15D(단일조건)
․ 습도 : 65% R.H.
․ 먹이 : 밀, 옥수수
▶분포 : 우리나라 전 지역
○ 전래적 식용 근거로 식품 원료가 된 메뚜기, 백강잠, 식용누에(애벌레, 번데기) 3종과 농촌진흥청 연구성과로 식품 원료로 인정받은 갈색거저리 애벌레와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2014년), 장수풍뎅이 애벌레와 쌍별귀뚜라미(2015년), 아메리카 왕거저리 애벌레(탈지 분말)와 수벌 번데기(2020년)에 이어 열 번째이다.
○ 이는 식용곤충 사육 농가가 증가하면서 식품 원료로 인정해 달라는 농가 요청에 따른 것이다.
□ 풀무치는 식용곤충인 벼메뚜기와 같은 메뚜기목 메뚜깃과로 벼메뚜기보다 약 2배 이상 크고 사육 기간은 절반 정도로 짧으며 사료 효율이 2배 이상 좋아 생산성이 뛰어나다.
○ 또한, 단백질(70%)과 불포화지방산(7.7%)이 풍부해 식품 원료로서 가치가 높아 과자‧선식 등 다양한 식품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농촌진흥청은 약 2년에 걸쳐 풀무치의 특성, 영양성, 독성 등 위해성 평가를 비롯해 제조 공정 표준화 등을 연구했고,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약 8개월에 걸쳐 안전성 등을 심사해 풀무치를 새로운 식품 원료로 인정했다.
"본 저작물은 농촌진흥청에서 '2021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행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화폐 거래소 ISMS 인증획득 43개사 최종 명단 / 9.23 기준 (0) | 2021.09.22 |
---|---|
국민연금, SK이노베이션 물적분할 승인에 반대 (0) | 2021.09.14 |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시험계획 승인현황 / 2021.09.08.기준 (0) | 2021.09.09 |
화물차 4대 자율협력 군집주행, 장거리 기술시연 / 2021.9.9 (0) | 2021.09.08 |
금연치료보조제 바레니클린 의약품 위해 우려 낮으나 검출량 초과 제품 회수 (0) | 202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