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정정보

‘풀무치’ 안전성 입증 완료, 식용곤충 인정

반응형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과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9월13‘풀무치’를 새로운 식품 원료로 인정했다.

 

사진제공 농촌진흥청

▶원재료명 : 풀무치
▶학명 : Locusta migratoria
▶분류 : 곤충강 메뚜기목 메뚜깃과 풀무치 속
▶사육환경(연중 대량 사육)
․ 사육온도 : 30℃
․ 광주기 : 9L/15D(단일조건)
․ 습도 : 65% R.H.
․ 먹이 : 밀, 옥수수
▶분포 : 우리나라 전 지역

 

전래적 식용 근거로 식품 원료가 된 메뚜기, 백강잠, 식용누에(애벌레, 번데기) 3종과 농촌진흥청 연구성과로 식품 원료로 인정받은 갈색거저리 애벌레와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2014), 장수풍뎅이 애벌레와 쌍별귀뚜라미(2015), 아메리카 왕거저리 애벌레(탈지 분말)와 수벌 번데기(2020)에 이어 열 번째이다.

 

이는 식용곤충 사육 농가가 증가하면서 식품 원료로 인정해 달라는 농가 요청에 따른 것이다.

 

풀무치는 식용곤충인 벼메뚜기와 같은 메뚜기목 메뚜깃과로 벼메뚜기보다 약 2배 이상 크고 사육 기간은 절반 정도로 짧으며 사료 효율이 2배 이상 좋아 생산성이 뛰어나다.

 

또한, 단백질(70%)과 불포화지방산(7.7%)이 풍부해 식품 원료로서 가치가 높아 과자선식 등 다양한 식품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은 약 2년에 걸쳐 풀무치의 특성, 영양성, 독성 등 위해성 평가를 비롯해 제조 공정 표준화 등을 연구했고,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약 8개월에 걸쳐 안전성 등을 심사해 풀무치를 새로운 식품 원료로 인정했다.

 

"본 저작물은 농촌진흥청에서 '2021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