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정정보

향후 10년간(‘21~’30년) 국가철도망 투자계획 담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 확정

반응형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향후 10년간(‘21’30) 국가철도망에 대한 투자계획을 담은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을 마련, 철도산업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철도의 건설 및 철도시설 유지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10 단위 중장기 법정계획으로, 철도망 구축의 기본 방향과 노선 확충계획, 소요재원 조달방안 등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교통연구원의 용역결과를 토대로 공청회 (‘21.4.22), 전문가 토론회, 지자체를 포함한 관계기관의 폭 넓은 의견수렴 등을 거쳐 확정되었다.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1‘30)국민생활과 나란히, 누구나 누리는 철도를 구축하겠다는 비전 아래, 7대 추진방향*을 토대로 검토되었으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7대 추진방향
① 철도운영 효율성 제고
② 주요 거점 간 고속연결
③ 비수도권 광역철도 확대
④ 수도권 교통혼잡 해소

⑤ 산업발전 기반 조성

⑥ 안전하고 편리한 이용환경 조성

⑦ 남북 및 대륙철도 연계 대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신규사업 현황(44개, 58.8조원)

  노 선 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 사업비(억원)
① 운영효율성 제고사업
고속 경부고속선 수색∼서울∼광명 복선전철 26.6 22,285
광명∼평택 2복선전철화 66.3 56,942
일반 문경ㆍ점촌선 문경∼점촌∼김천 단선전철 70.7 11,437
경북선 점촌∼영주 단선전철화 55.2 2,709
공항철도 서울역∼인천국제공항 급행화 63.9 4,912
광역 분당선 왕십리∼청량리 단선전철 1.0 820
소계(6개 사업) 283.7 99,105
② 주요 거점 간 고속연결 사업
고속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 화성 향남∼경부고속선 복선전철(직결선) 7.1 5,491
일반 광주∼대구 광주송정∼서대구 단선전철 198.8 45,158
평택부발선 평택∼부발 단선전철 62.2 22,383
원주연결선 원주∼만종 복선전철(직결선) 6.6 6,371
동해선 삼척∼강릉 단선전철(고속화) 43.0 12,744
전라선 익산∼여수 복선전철(고속화) 89.2 30,357
호남선 가수원∼논산 복선전철(고속화) 17.8 7,415
소계(7개 사업) 424.7 129,919
③ 비수도권 광역철도 확대 사업
광역 충청권 광역철도(2단계) 신탄진∼조치원 복선전철(기존선) 22.6 364
충청권 광역철도(3단계) 강경∼계룡 복선전철(기존선) 40.7 511
동탄∼청주공항 광역철도 동탄∼청주공항 단선전철 78.8 22,466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반석∼조치원∼청주공항 복선전철 49.4 21,022
대구권 광역철도(2단계) 김천∼구미 복선전철(기존선) 22.9 458
대구1호선 영천 연장 경산 하양역∼금호 복선전철 5.0 2,052
대구∼경북 광역철도 서대구∼의성 복선전철 61.3 20,444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부산 노포∼울산역 복선전철 50.0 10,631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진영∼울산역 복선전철 51.4 19,354
광주∼나주 광역철도 상무역∼나주역 복선전철 28.1 15,235
용문∼홍천 광역철도 용문∼홍천 단선전철 34.1 8,537
소계(11개 사업) 444.3 121,074
④ 수도권 교통혼잡 해소 사업
광역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장기역∼부천종합운동장역 복선전철 21.1 22,475
별내선 연장 별내역∼별가람역 복선전철 3.2 2,384
송파하남선 오금∼하남시청 복선전철 12.0 15,401
강동하남남양주선 강동∼하남∼남양주 복선전철 18.1 21,032
위례과천선 복정∼정부과천청사 복선전철 22.9 16,990
고양은평선 새절∼고양시청 복선전철 13.9 14,100
인천 2호선 고양 연장 인천 서구∼고양 일산 서구 복선전철 18.5 17,502
위례삼동선 위례∼삼동 복선전철 10.4 8,168
일산선 연장 대화∼금릉 복선전철 10.9 12,127
분당선 연장 기흥∼오산 복선전철 16.9 16,015
신분당선 호매실∼봉담 단선전철 7.0 4,374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 용산∼삼송 복선전철 20.2 18,002
대장홍대선 부천대장∼홍대입구 복선전철 20.0 21,526
제2경인선 청학∼노온사 복선전철 21.9 16,879
신구로선 시흥대야∼목동 복선전철 12.4 9,430
소계(15개 사업) 229.4 216,405
⑤ 산업발전 기반조성 사업
일반 새만금선 대야∼새만금항 단선전철 47.2 13,569
대합산단산업선 대구산단∼대합산단 단선전철 5.4 2,653
동해신항선 삼척해변∼동해신항 단선철도 3.6 1,650
부산신항 연결지선 부산신항선∼부전마산선 단선전철(연결선) 6.5 2,151
철도종합시험선 오송 철도종합시험선로 단선전철 3.6 1,071
소계(5개 사업) 66.3 21,094
총 계(44개 사업) 1,448.4 587,597

 

< 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계획도(전국) >

이미지 제공 국토교통부

 

이번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의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병목구간선로용량 확충, 단절구간 연결 전철화 등 사업을 통해 국가철도망의 운영 효율성대폭 높일 계획이다.

 

철도 운행 집중구간인 경부고속선 광명~평택 2복선화 사업* 등을 통해 용량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기존 철도노선(공항철도)에 속도가 더 빠른 열차를 투입하는 급행화 사업**도 추진한다.

 

* 경부고속선 광명∼평택 2복선화 : 경부ㆍ호남고속선 운행확대, 인천발 KTX 등 신규 고속철도 운행지역 확대 등 고속철도 중심의 철도운행확대 기반 조성

* 공항철도 급행화 : 기존 노선에 150km/h급 고속차량 운행(표정속도 향상 효과: 직통열차 74km/h→97km/h, 일반열차 58km/h→75km/h)

 

또한, 열차 운행 단절구간(Missing Link)연결*하여 수도권과 지역 거점 또는 지역 거점 간 연계성을 제고하고, 비전철구간을 전철화 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 중부내륙선 문경∼김천 : 남부내륙철도(김천∼거제) 등과 연계하여 내륙 간선축 완성

 

두 번째로, 고속철도 운행지역확대하고, 기존노선 선형개량하여 지역 거점 간 이동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호남고속철도 2단계(광주~목포), 인천발·수원발 KTX 등 사업은 계획대로 진행하고, 서해안 지역 고속철도 소외지역 신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 : 서해안 지역에 고속철도 서비스 신규 제공

 

또한, 급구배·급곡선 등으로 열차 운행여건이 좋지 않았던 기존 선로(전라선·호남선·동해선)고속화·개량하고, 광주~대구 등 신규노선을 건설하여 거점 간 고속 이동이 가능하도록 추진한다.

 

세 번째로, 비수도권광역철도대폭 확대하여 지방 대도시권 조성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조성할 계획이다.

 

그 간 수도권은 도시철도 외에도 다수의 광역철도 노선이 건설·운영되어 수도권 확산·발전에 큰 영향을 미쳐온 반면, 비수도권 지방 대도시권 내 이동을 지원하는 광역철도가 부족하여 지방 광역경제권 발전을 더디게 하는 한 요인이 되어왔다.

 

이에 경부선 등 기존 선로를 활용한 광역철도 사업뿐만 아니라, 지방 광역경제권 내 거점을 연결하는 신규 광역철도를 건설하여 지방 대도시경쟁력을 높이고, 지역주민 이동편의 제고한다.

 

* 비수도권 신규 광역철도 사업: (3차 계획) 1개(0.5조원) → (4차 계획) 11개(12.1조원)

 

- 아울러, 광역철도 지정기준을 생활권 범위확대 등 현실 여건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조정하고, 비수도권 광역철도 사업이 활성화되도록 다양한 개선 방안연내 마련할 계획이다.

 

네 번째로, 고질적인 수도권 교통혼잡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광역급행철도 등 신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3개 노선차질없이 추진하고, 서부권역*에 광역급행철도 노선을 신설하여 급행철도 서비스 수혜지역확대할 계획이다.

 

* 장기역부천종합운동장역 구간을 신설하고, GTX-B노선(송도∼마석) 사업자와의 협의를 거쳐 부천종합운동장역에서 GTX-B노선을 공용하여 용산역 등 서울도심까지 열차 직결운행 추진

 

또한, 2·3기 신도시 등 수도권 외곽의 주요 개발지역과 서울 간 이동 편의성 제고를 위해 도시철도 연장형 광역철도 등 신규 광역 철도 사업도 추진하여 ·퇴근 이동시간을 대폭 단축할 계획이다.

 

다섯 번째로, 화물열차가 운행할 수 있는 산업철도 노선을 건설하여 기업의 경제 활동지원하고, 철도산업 발전을 위한 핵심 기반시설(철도종합시험선로)고도화한다.

 

주요 산업단지와 항만의 물동량을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 철도 인입선을 건설할 계획이며,오송에 위치한 철도종합시험선로고도화(순환선 구축)하여 신규 철도차량 주행시험 시험 용량 확대하고, 철도 기술개발 해외진출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라 119.8조원(’21~’30년 기간 동안 92.1조원, ’31년 이후 27.7조원)이 소요되어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대비 29원 이상 투자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부문별로는 고속철도 15.3조원, 일반철도 47조원, 광역철도 57.4조원이 소요되어 광역철도 투자가 대폭 확대되었으며, 재원 구성은 국비 72.4조원, 지방비 10.4조원, 민자유치공기업기타 37조원으로 국가 재정운용 여건을 고려한 다각적인 재원확보 필요성이 투자계획에 반영되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라 철도망 확충이 차질 없이 이루어질 경우 고속·일반·광역 철도망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며, “국가균형발전지방 대도시권 경쟁력 강화, 지역 거점 간 연결성 강화 등 정책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용측면에서도 200km/h 이상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받는 지역이 확대되고, 수도권 및 지방대도시권 내 출퇴근 시간이 현재 대비 50% 수준 이하로 단축되어 생활여건이 획기적으로 개선되며, 철도 이용객 증가 등에 따라 미세먼지 등 유해 물질도 감소하여 탄소중립 사회실현을 위한 철도의 중추적 역할이 예상된다.

 

아울러, 47만명의 고용유발 효과255조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생산유발 효과+부가가치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어 제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6.29철도산업위원회를 통해 심의의결된 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은 내주 중 관보에 고시될 예정이다.

 

"본 저작물은 국토교통부에서 '2021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